○ 개 요
12월 1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조 3,069억 원 규모로 2020년 예산이 최종 확정되었다고 발표
○ 주요 내용
(세계 1등 인공지능 국가) 세계 1등 인공지능 국가를 실현하기 위한 지원을 확대하여 총 2,500억 원을 투입
(기초가 튼튼한 과학기술 실현) 역량 있는 연구자가 단절 없이 안정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개인연구와 집단연구 지원을 대폭 확대, 총 1조 5,197억 원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를 위한 원천기술 개발 및 신뢰성 평가 테스트베드 구축과 ICT 분야 부품・장비 국산화, 총 3,396억 원
(3대 핵심 신산업 육성) 바이오・헬스, 시스템반도체, 미래차 등 3대 핵심 신산업(BIG3), 총 5,250억 원
(과학기술・ICT기반 포용국가) 사회문제 해결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 지역과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투자를 확대
보도자료 보러가기
「주간 정책 동향」
정부 정책 동향 따라가기
2019년 12월 18일 수요일
중소벤처기업부 2020년 예산 확정
○ 개 요
중소벤처기업부는 12월 11일 13조 3,640억 원 규모로 2020년 예산이 최종 확정되었다고 발표
○ 주요 내용
스마트 대한민국 건설을 위한 스마트 제조혁신 및 기술개발 예산을 대폭 확대 반영
- 제조 데이터 센터(1단계 67억 원), 스마트 공장 보급(4,150억 원), 권역별 스마트공장 테스트베드 구축(2개소 48억 원), 스마트 서비스 사업(93억 원), 스마트 상점 사업(17억 원) 등
- 미래 성장기업 창출을 위한 연구개발(R&D) 예산은 1조 4,871억 원으로 증액 반영 : AI 기반 고부가 신제품 기술 개발(신규 155억 원), 빅 데이터 기반 서비스 개발(신규 65억 원), 제조현장 맞춤형 스마트센서(신규 47억 원) 등
창업・벤처기업의 도약을 지원하는 예산 확대
-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등 3대 혁신산업 분야의 스타트업 패키지 지원사업(450억 원), 모태펀드 출자(8천억 원), TIPS(544억 원), 유니콘으로의 성장 지원 사업(120억 원)
소상공인과 자영업자가 변화된 환경에 대응하도록 돕는 예산을 적극 반영
- 1인 소상공인 미디어 플랫폼 구축, 콘텐츠 제작 지원 등을 확대 반영(313억 원), 소상공인 융자 지원을 확대 반영(500억 원), 소공인 복합지원센터(25억 원), 소공인 공동기반시설 구축(15억 원) 등
규제자유특구 예산을 확대 반영(1,103억 원)
보도자료 보러가기
중소벤처기업부는 12월 11일 13조 3,640억 원 규모로 2020년 예산이 최종 확정되었다고 발표
○ 주요 내용
스마트 대한민국 건설을 위한 스마트 제조혁신 및 기술개발 예산을 대폭 확대 반영
- 제조 데이터 센터(1단계 67억 원), 스마트 공장 보급(4,150억 원), 권역별 스마트공장 테스트베드 구축(2개소 48억 원), 스마트 서비스 사업(93억 원), 스마트 상점 사업(17억 원) 등
- 미래 성장기업 창출을 위한 연구개발(R&D) 예산은 1조 4,871억 원으로 증액 반영 : AI 기반 고부가 신제품 기술 개발(신규 155억 원), 빅 데이터 기반 서비스 개발(신규 65억 원), 제조현장 맞춤형 스마트센서(신규 47억 원) 등
창업・벤처기업의 도약을 지원하는 예산 확대
-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등 3대 혁신산업 분야의 스타트업 패키지 지원사업(450억 원), 모태펀드 출자(8천억 원), TIPS(544억 원), 유니콘으로의 성장 지원 사업(120억 원)
소상공인과 자영업자가 변화된 환경에 대응하도록 돕는 예산을 적극 반영
- 1인 소상공인 미디어 플랫폼 구축, 콘텐츠 제작 지원 등을 확대 반영(313억 원), 소상공인 융자 지원을 확대 반영(500억 원), 소공인 복합지원센터(25억 원), 소공인 공동기반시설 구축(15억 원) 등
규제자유특구 예산을 확대 반영(1,103억 원)
보도자료 보러가기
산업통상자원부 2020년 예산 확정
○ 개 요
산업통상자원부는 12월 11일 9조 4,367억 원 규모로 2020년 예산이 최종 확정되었다고 발표
○ 주요 내용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제고 지원(1조 2,780억 원)
- 소재부품기술개발(6,027억 원),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1,834억 원), 소재부품산업 미래성장동력(1,457억 원) 등
BIG3 핵심산업 및 신산업 생태계 지원
- 시스템 반도체(1,096억 원), 바이오헬스(1,533억 원), 미래차(2,227억 원), 로봇(1,268억 원), 수소경제(943억 원) 등
수출활력 회복지원
- 무역금융(2,960억 원), 통상분쟁 대응(234억 원)
에너지 전환 및 안전투자 확대(1조 2,071억 원)
- 재생에너지 지원(12,071억 원), 에너지 안전(2,026억 원), 에너지 복지(2,563억 원) 등
지역경제 활성화 지원
- 지역투자촉진(2,137억 원), 산업단지 환경조성(4,309억 원) 등
보도자료 보러가기
산업통상자원부는 12월 11일 9조 4,367억 원 규모로 2020년 예산이 최종 확정되었다고 발표
○ 주요 내용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제고 지원(1조 2,780억 원)
- 소재부품기술개발(6,027억 원),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1,834억 원), 소재부품산업 미래성장동력(1,457억 원) 등
BIG3 핵심산업 및 신산업 생태계 지원
- 시스템 반도체(1,096억 원), 바이오헬스(1,533억 원), 미래차(2,227억 원), 로봇(1,268억 원), 수소경제(943억 원) 등
수출활력 회복지원
- 무역금융(2,960억 원), 통상분쟁 대응(234억 원)
에너지 전환 및 안전투자 확대(1조 2,071억 원)
- 재생에너지 지원(12,071억 원), 에너지 안전(2,026억 원), 에너지 복지(2,563억 원) 등
지역경제 활성화 지원
- 지역투자촉진(2,137억 원), 산업단지 환경조성(4,309억 원) 등
보도자료 보러가기
고용노동부 2020년 예산 확정
○ 개 요
12월 11일, 고용노동부는 30조 5,139억 원 규모로 2020년 예산이 최종 확정되었다고 발표
○ 주요 내용
국민취업지원제도 도입 등 고용안전망 대폭 확충
- 국민취업지원제도(2,771억 원), 공공 고용서비스 인프라 확충(407억 원), 국민내일배움카드(8,777억 원) 등
저소득 노동자 지원 강화
- 체불노동자의 임금채권보장 강화(4,335억 원), 일자리안정자금(2조 1,647억 원) 등
취업취약계층 대상 맞춤형 일자리 지원 확대
- 청년추가고용장려금 지속 지원,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246억 원), 신중년 경력형일자리(307억 원), 모성보호지원(1조 5,432억 원), 발달장재인 직업훈련 시설 확충(223억 원) 등
환경변화에 선제 대응하는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강화
- 맞춤형 인재양성(1,132억 원), 고용위기 선제대응 패키지(403억 원) 등
노동시간 단축 사업장에 대한 지원 확대
- 노동시간 단축 현장안착 지원(24억 원), 일터혁신컨설팅(236억 원), 노동시간 단축 기업 지원금(46억 원)
산재예방지원 대폭 확대 및 직장 내 괴롭힘 상담・교육 강화
- 시스템비계(추락방지발판) 설치(554억 원), 근로자 건강센터(174억 원), 산재병원 의료서비스 질 제고(61억 원) 등
보도자료 보러가기
12월 11일, 고용노동부는 30조 5,139억 원 규모로 2020년 예산이 최종 확정되었다고 발표
○ 주요 내용
국민취업지원제도 도입 등 고용안전망 대폭 확충
- 국민취업지원제도(2,771억 원), 공공 고용서비스 인프라 확충(407억 원), 국민내일배움카드(8,777억 원) 등
저소득 노동자 지원 강화
- 체불노동자의 임금채권보장 강화(4,335억 원), 일자리안정자금(2조 1,647억 원) 등
취업취약계층 대상 맞춤형 일자리 지원 확대
- 청년추가고용장려금 지속 지원,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246억 원), 신중년 경력형일자리(307억 원), 모성보호지원(1조 5,432억 원), 발달장재인 직업훈련 시설 확충(223억 원) 등
환경변화에 선제 대응하는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강화
- 맞춤형 인재양성(1,132억 원), 고용위기 선제대응 패키지(403억 원) 등
노동시간 단축 사업장에 대한 지원 확대
- 노동시간 단축 현장안착 지원(24억 원), 일터혁신컨설팅(236억 원), 노동시간 단축 기업 지원금(46억 원)
산재예방지원 대폭 확대 및 직장 내 괴롭힘 상담・교육 강화
- 시스템비계(추락방지발판) 설치(554억 원), 근로자 건강센터(174억 원), 산재병원 의료서비스 질 제고(61억 원) 등
보도자료 보러가기
주52시간제 안착을 위한 보완대책 발표
○ 개 요
정부는 12월 11일 개최한 제27차 경제활력대책회의 겸 제29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주52시간제 안착을 위한 보완대책 발표
○ 주요 내용
(계도기간) 50~299인 기업에 1년간의 계도기간 부여
(현장 애로사항 해소 지원 강화) 현장지원 및 컨설팅, 구인난 해소 및 비용 부담 완화, 외국인력 지원 확대
(특별연장근로 인가사유 확대) 건강권 보호 조치
(업종별 특화 지원) 업종별 관행 개선, 노동시간 단축 기업 우대, 노동시간 단축 지원 신설・확대, 주52시간제 가이드 마련
- 업종 : 제조, SW, 건설, 복지, 버스, 농식품, 문화, 관광, 스포츠
보도자료 보러가기
정부는 12월 11일 개최한 제27차 경제활력대책회의 겸 제29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주52시간제 안착을 위한 보완대책 발표
○ 주요 내용
(계도기간) 50~299인 기업에 1년간의 계도기간 부여
(현장 애로사항 해소 지원 강화) 현장지원 및 컨설팅, 구인난 해소 및 비용 부담 완화, 외국인력 지원 확대
(특별연장근로 인가사유 확대) 건강권 보호 조치
(업종별 특화 지원) 업종별 관행 개선, 노동시간 단축 기업 우대, 노동시간 단축 지원 신설・확대, 주52시간제 가이드 마련
- 업종 : 제조, SW, 건설, 복지, 버스, 농식품, 문화, 관광, 스포츠
보도자료 보러가기
피드 구독하기:
글 (Atom)